본문 바로가기
건강 및 질병

고혈압, 마라톤할 때 유의 해야한다. 특히 40대 이상 중년은 더?

by 푸무링 2024. 6. 13.
반응형

마라톤이 중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주의사항과 권장사항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중년층을 위한 마라톤 운동의 건강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 마라톤이 심폐지구력을 향상시켜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중년층에게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필요합니다. 최근 연구 결과를 통해 중년층이 마라톤을 즐길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살펴볼게요.


운동유발성고혈압의 위험

박경민 교수(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와 김영주 교수(성신여자대학교 운동재활복지학과) 연구팀은 운동유발성고혈압(Exercise-Induced Hypertension)에 대한 연구를 종합 분석한 결과, 중년층 남성의 40%, 마라톤을 즐기는 중년 남성의 56%가 운동유발성고혈압에 해당한다고 밝혔습니다. 운동유발성고혈압은 운동 중 수축기 혈압이 남성 210 mmHg, 여성 190 mmHg 이상으로 상승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심혈관 건강과 마라톤

운동유발성고혈압은 심근경색의 주요 원인인 죽상동맥경화증을 가속화하고, 심방확장, 심근비대 등을 유발해 치명적 부정맥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지속적으로 마라톤을 즐기는 중년 운동선수의 죽상동맥경화증 유병률은 일반인의 두 배에 달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중강도의 운동은 심장 부정맥 유병률을 감소시키지만, 지구력 운동 선수는 심방세동 부정맥 위험이 일반인보다 5배 높다고 합니다.


건강한 운동을 위한 권장사항

박경민 교수는 "무조건 마라톤을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40세 이상이라면 마라톤을 즐기기 전에 자신의 신체 능력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운동부하검사와 심장CT검사를 통해 심장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체계적인 운동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고 조언합니다.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하루 20~60분, 일주일에 35회, 최대 산소소비량(VO2 Max) 40~80% 수준의 적당한 강도의 운동을 추천합니다. 마라톤을 할 경우,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운동 혈압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심장CT 검사로 관상동맥석회화의 진행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권장됩니다​​.


마치며

중년층이 마라톤을 즐길 때는 심혈관 건강을 꼼꼼히 체크하고, 자신의 신체 능력에 맞춘 운동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운동은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고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과도한 운동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러분도 건강을 위해 운동을 꾸준히 하되,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즐기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참고 : MedicalXpress

 

Ready, set, go: New study shows how marathon running affects different foot muscles

With the current trend of fitness consciousness, many people have taken up long-distance running as a part of their exercise regime. They also participate in various local, national, and global marathons. But marathon running can lead to muscular fatigue a

medicalxpress.com